마음소풍이야기

청소년들의 SNS/스마트폰 중독 [부천청소년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

마음소풍2020.03.15 20:20조회 수 10136

과거에는 길을 걸을 땐, 주변을 돌아보며 길을 찾아가기도 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듣거나 책을 읽었었다면,

요즘에는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모습이 대부분입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1.PNG

 

 

길을 걸어갈 때도 스마트폰을 보고 있거나, 

친한 사람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조차, 

대화보다는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고 있지요.

 

스마트폰 없이 화장실을 가기도 허전하고,

외출을 하게 된다면, 무엇보다도 스마트폰을 먼저 챙기게 됩니다.

 

스마트폰이 우리의 일상에 자리잡게 된지는 불과 10여년 정도이지만,

이제는 한시라도 떨어져서는 안되는 꼭 필요한 물건 중에 하나가 되었지요.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2.PNG

 

 

카메라, 음악감상, 영화감상, 인터넷, 게임, 쇼핑 등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무엇이든 가능한 세상이 되다보니,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스마트폰의 의존도는

나날이 높아져만 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도깨비 방망이와 같은 존재가 되다보니,

일상 속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물건이 되었는데,

이로인한 문제점도 계속 늘어만 가고 있습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3.PNG

 

 

'스몸비'라는 표현을 들어보셨을텐데요,

'스마트폰+좀비'의 합성어로, 

스마트폰에 넋이 빠진 채, 길을 걷는 사람을 일컫듯이

스몸비로 인해 사회적 문제도 적지않게 발생하게 되다보니,

세계적으로도 다양한 캠페인을 하게 될 정도입니다.

 

성인들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청소년기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은 매우 심각합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4.PNG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조사결과도 있었는데요,

 

어느때 보다도 학업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에

한시도 스마트폰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되다 보니,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산만해지게 되고,

스마트폰을 보며 걷다가 사고를 당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5.PNG

 

 

청소년 98.9%가 SNS 사용


 

청소년들의 SNS 실태 조사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의 98.9%가 

SNS를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거의 모든 아이들이 사용한다고 보아도 무방한데요, 

대부분은 여러개의 SNS 어플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 이용시간이 5시간 이상, 하루 10회 이상 접속한다고 합니다. 

 

물론 여러가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요.

 

걸러지지 않은 욕설, 비방 등에 쉽게 노출되기도 하고,

타인의 게시물을 보면서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게 되거나,

폭력적인 게시물로 인해 모방범죄를 일으키게 되기도 하며,

친구들의 거친 표현에 상처를 받고 우울증 등을 겪게 되기도 합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6.PNG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님들의 약 70%는

 

자녀가 휴대폰을 너무 많이 사용해서 걱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실제로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SNS와 쇼핑, 유튜브 등을 쉽게 접하게 되면서, 

친구들끼리 서로 만나더라도 이야기를 나누기 보다는, 

서로 만나도 스마트폰만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합니다.

 

이러한 행태가 지속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사회성에 문제점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대화보다는 메일이나 메신저로 소통하기를 선호하게 되고,

사람을 만나거나 협업하는 관계보다는,

혼자서 할 수 있는 것만을 찾게 되거나,

대인기피 증상을 보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7.PNG

 

 

스마트폰 / SNS 중독의 문제점


 

1. 사람과 만나는 시간이 줄어듬

2. 지속적인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느끼고 일상에 압도된 느낌을 받아 지침

3. 학생의 경우 성적이 떨어지고 과제 완성도가 낮거나 아예 하지않고 뒤로 미루게 됨

4. 꼭 해야할 일들에 소홀해지고 점점 책임감을 잃게됨

5. 사람을 만나도 불편함을 느끼거나 앞에 앉아있는 사람에 반응하지 않음

6. 다른 사람들과 한 공간에 있어도 사람들과 이야기 하지 않고 폰을 보게 됨

7. 현실에서 가장 친밀한 관계를 맺는 사람들과 점점 갈등이 많아짐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8.PNG

 

 

최근에는 '인공성숙'이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는데요,

 

이것은 아직 제대로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들이 

SNS 등을 통하여 많은 것들을 접하게 되면서 

겉으로 보기에는 많은 것을 알고, 어른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정신적인 상태는 아직 어린 것을 의미합니다.

 

즉,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얻게 되는 많은 정보를 통해 

다양하고 넓은 지식은 쌓여 있지만, 단편적인 얕은 지식이 대부분인채,

깊이감이 결여된 지식을 전부인양 받아들이고,

즉각적인 판단과 행동이 앞서게 되면서

원만한 의사소통 능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게 될 수 있는 것이지요.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09.PNG

 

 

청소년 스마트폰 / SNS 중독 예방법


 

1. SNS 이용시간 정하기

학교에 있는 시간이나 공부하는 시간, 자기 전에는

스마트폰을 보지않겠다는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들과도 밤 9시 이후와 같이 일정시간 이후에는

서로 미이용시간을 공유하고 지키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2. 알람 꺼두기

알람이 계속오면 궁금해서 보게 되거나 일상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알람을 꺼두고, 필요할때만 확인하도록 하면,

SNS 접속 빈도를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게 됩니다.

 

3. 이동시에는 안전하게 가방에 넣기

걸어다닐 때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스마트폰을 가방에 넣어서 보관하는게 좋습니다. 

 

4. 약속된 장소에 보관하기

스마트폰을 보관할 특정 장소를 가족과 정해보거나,

충전기를 침실에 가져오지 않도록 노력해보세요.

 

5. 강제적인 사용금지는 지양

자녀가 스마트폰을 끼고 산다고해서 강압적으로만 금지시키게 되면,

부모자녀간 갈등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녀 스스로 시간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그 약속을 잘 지키고 있다면 적절한 보상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SNS중독_스마트폰중독치료방법_부천청소년상담센터마음소풍_10.PNG

 

 

스마트폰과 SNS와 같은 매체는

편리하고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미성숙하게 만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문제점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는 이유는

딱히 다른 대안이 없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학업 외에 스트레스를 풀거나, 

다소간의 여유를 찾을 수 있는 환경이라고는

PC방이나, 노래방, 스마트폰 정도이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무조건 나쁘니까, 

공부만 할 때니까 라는 이유로 못하게만 하기 보다는 

스스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녀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어떤 어려움은 없는지,

부모님이 관심을 갖고,

자녀와 편안한 대화의 시간을 늘려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천인천심리상담센터마음소풍_심리상담예약문의_아동.png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  |  https://www.maum-sopoong.or.kr

아동, 청소년, 가족상담, 성인상담, 커플, 부부상담,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놀이치료, 웩슬러지능검사, 종합심리검사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137, 5층 (상동, 상록그린힐빌딩)  |  오시는 길

댓글 0
Invalid XML in widget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