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적 함구증 (Selective Mutism, 선택적 함묵증)
선택적 함구증은 선택적 함묵증이라고도 하며, 다른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지만, 예를들면 학교처럼 말을해야만 하는 사회적 상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말을 ...
Category심리용어 -
산후우울증 (Postpartum Depression)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4주 이후 시작되는 불안감, 불면, 과도한 체중 변화 등으로 죄책감을 느끼며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출산 후 일주일 내...
Category심리용어 -
청소년심리상담
청소년 심리학의 아버지 스탠리 홀은 청소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정의했습니다. 신체적 성숙과 성적성숙이 일어나는 이 시기의 청소년은 불...
Category심리용어 -
급성스트레스장애 Acute Stress Disorder
급성 스트레스장애의 주요 특성은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외상성 사건에의 노출에 따르는 3일에서 1개월까지 지속되는 특정적 증상의 발달이다. 직접적으...
Category심리용어 -
시험불안증후군, 시험공포증 (Test anxiety)
"시험지를 받아들기만 하면 머리가 멍해져요" "긴장을 너무 많이 하게되서 평소 실력이 안 나와요" "시험지 받으면 심장이 뛰고 너무 떨려요" "시험 당일만 ...
Category심리용어 -
저장강박증, 디오게네스 증후군 (Compulsive hoarding syndrome)
물건에 대한 집착이 강해서 쓸모없는 물건임에도 불구하고, 사거나 모으며 버리지 못하는 사람을 '호더'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이런 호더장애는 강박장...
Category심리용어 -
대인공포증, 대인기피증 (Anthropophobia)
대인공포증이란 말 그대로 대인관계에 대한 공포감이 극대화된 질환을 뜻합니다. 사람들을 만나거나 외부에서 사회적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극도로 공포...
Category심리용어 -
영유아,아동심리상담
초기 아동기의 경험은 인격형성의 기초가 되며 인격장애의 핵심요소가 된다고 심리학자들은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훌륭한 양육방식이란 무엇일까요. ...
Category심리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