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집중력검사, ADHD의 조기발견! 정밀주의집중력검사(ATA)
ADHD의 조기발견 및 정확한 진단, 정밀주의집중력검사(ATA) ATA검사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아, 청소년의 지속적이고 선택적인 주의집중과 충동억제를 측정하는 ...
Category심리용어 -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에는 언어장애, 말소리장애,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말더 듬)가 포함된다. 처음의 3가지 진단은 각각 언어, 발음, ...
Category심리용어 -
반응성애착장애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영아기 또는 아동기의 반응성 애착장애는 현저하게 장애를 보이고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애착 행동의 양식이 특징적이며, 안락, 지지, 보호 그리고 돌봄을 ...
Category심리용어 -
발모광(털뽑기장애) Trichotillomania (Hair- Pulling Disorder)
발모광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반복적으로 자신의 털을 뽑는 행위다. 털뽑기는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털이 자라는 곳이면 일어날 수 있다. 가장 흔한 곳은...
Category심리용어 -
되새김장애 Rumination Disorder
되새김장애의 핵심 증상은 적어도 1개월 동안 급식 혹은 섭식 후 나타나는 음식의 반복적인 역류다. 이전에 삼켜서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을 두드러진 오...
Category심리용어 -
자폐스펙트럼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에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관...
Category심리용어 -
정서검사, 심리상담의 방향 제시
종합심리검사 중 지능검사를 제외하고 실시하는 종합 정서검사는 심리상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심리상담 치료의 방향과 기준을 제시해 줍니다. 본 검사...
Category심리용어 -
특정학습장애
특정학습장애는 진단명이 암시하듯이 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인지하고 처리하는 능력에 특정한 결함이 나타날 때 진단된다. 이 장애는 공교육 과정에서 처...
Category심리용어